안녕하세요
오늘의 포스팅은 되도록
짧게 끝내도록 하죠
그럼...
지난시간에 이어서 바로 직진해볼게요.
한 사례를 들어볼게요.
지난시간에 링을 설명하면서
메시가 무엇인지 설명했었죠
메시가 기억안나시는 분은 다시 복습하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지난시간 내용을 다 안다는 전제하에 문제를 풀어보죠.
먼저 메시해석을 하기위해선 무엇을 해야할까요?
1. 여러개의 메시에서 메시 전류를 i1, i2, i3, i4...... 할당한다.
2. n개의 메시의 각각에 키르히호프전압법칙을 적용해본다.
[이때 옴의 법칙을 적절히 이용한다.]
3. 메시 전류들을 구하기 위해 n개의 연립방정식을 푼다.
위 3과정이
메시해석의 전부입니다.
너무나 간단하죠.
위 예시에는 2개의 메시가 있어요.
1번 메시는.
이렇게 생겼죠?
문제를 푸는거야... 너무쉽습니다.
-V2 + 100 * i1 + 100 * ( i1 + i2) =0
다음은.
2번 메시입니다.
이 수식도 위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겠죠.
다만 전류의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 것은.
V3 전압원의 극방향이
V1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사실 메시 해석에 있어서는 전류의 방향을 모른다고 가정하고
임의의 방향으로 잡아도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계산결과 음의 부호가 나오면
내가 구한 전류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흐르는구나.
알 수 있거든요.
어쨋든.
수식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V3 + 100 * i2 + 100 * (i1+ i2) =0
자 그럼.
두 수식을 연립해봅시다.
100 * i1 + 100 * ( i1 + i2) = V2
100 * i2 + 100 * ( i1+ i2 ) = V3
V2와 V3의 값은 정해져있는 상수값이며
변수는 i1과 i2이니 두개의 미지수는
두개의 방정식으로 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타납니다.
답은 여러분이 찾아보세요.
자 그럼 아래와 같은 경우는 어떻게 메시해석을 할까요?
포인트는 전류원인데요
대체 중첩되는 요부분을 어떻게 해석해야겠냐는 겁니다.
R3에 흐르는 전류가 얼마일까요?
너무 쉽죠.
당연히 1[A] 일겁니다
직렬로 연결되있으니까요
문제는 R3를 건너
R1과 R2 둘의 메시전류로 쪼개질때 어떻게 쪼개질 것이냐가 문젠데.
이를 위해서 우리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연립방정식을 세우려 할겁니다.
뭐 이런식이죠.
전체 회로가 이렇게 생겼다면.
여기서 한번 메시를 돌리고
KVL 적용하면
-1 * i1 * R1 - 100 = 0
i1 = 1.01 [A]
가 바로 나왔습니다.
이게 맞을까요?
Nope
이렇게 푸신 여러분은
재수강입니다.
-
왜냐고요?
키르히호프 전압법칙은
폐경로에서만 먹힌다는 기초를 잊었기 때문이죠.
회로를 다시봅시다.
우리가 회로이론에서 다루는건 이상적인 회로에 대해서 다룬다고
이전에 설명드린바 있었죠.
이상적인 전류원은
이상적인 소자로
자체 소모 전압이 0이며
저항이 무지막지하게 크다는거
설명드린바 있습니다
V = I * R 이라는 옴의법칙에서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V = 0 이고,
I는 0이 아닌 상수값이니
R은 적어도 무한대가 되어야 이 수식이
성립할 가능성이 있겠죠.
저항이 무한대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네.
그렇죠.
개방회로입니다.
전류원이 떡하니 센터에 포진되어 있는 경우
메시해석 시에는
걍 씹어주시면 되겠습니다.
개방회로니까요
따지고보면
위회로는 키르히호프 전압의 법칙을 적용하려는 관점으로
동일한 회로를 그렸을때 아래와 같이 표현될겁니다.
요렇게 회로를 해석하면 되겟지요.
허나.
두개의 작은 메시가 개방회로로 인해서
하나의 메시를 이루었다해서
메시전류가 동일한건 아니랍니다.
때문에.
키르히호프 전압법칙을 사용할때
-V1 + i1*100 -i2 * 100 + V3 = 0
이 되어야
맞는 수식이 되겠지요.'
그럼 우리는 또다른 수식을 찾아야만하는데
과연 어떤수식을 또 찾아낼 수 있을까요?
여기서 여러분이 헷갈릴만한 사실 하나를 던져보려 합니다.
아까 분명 이회로는 개방되어 있다 했었죠.
이 회로.
개방되어 있지만.
전류는 흐릅니다
어떻게 그럴수 있냐고요?
네 가능합니다.
이세상에 없는 전기거든요.
어쨋든 키르히호프 전압법칙으로부터
첫 번째 미지수 수식을 알아냈다면
이제는 키르히호프 전류법칙으로 부터
아래 수식을 하나 더 알아낼 수 있습니다.
바로 요부분 인데요.
-i1 - i2 = 1[A]
이 될겁니다.
-V1 + i1*100 -i2 * 100 + V3 = 0
-i1 - i2 = 1[A]
100 * i1 =100 * i2
i1 = i2
i1= 0.5[A]
i2 = 0.5[A]
매번 공부하면서 느끼는 거지만,
기초가 왜중요한지
왜 우리는 늘 기초를 망각하고 어려워하는지 뼈저리게 느끼곤합니다.
현업에 뛰는 저로써도 기초는 어렵고요.
혹시나 계산이나 수식에 문제가 있다면 피드백주세요.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고맙습니다. ㅎ
'전기공학 기초이론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이론] - 중첩의 원리 (0) | 2021.07.10 |
---|---|
[회로이론] - 선형 비선형 어디서 많이 들어보긴 했는데 잘모르겠다면???.. (0) | 2021.07.05 |
[회로이론] - 시험에 꼭나오는 메시해석(?) 대체뭔가? [1탄] (0) | 2021.06.12 |
[회로이론] - 누가 이런식으로 전기를 알려줘? (노드해석 전압원이 있을때 문제) (1) | 2021.06.02 |
[회로이론] - 전압원이 있을때 노드해석은 어떻게 하는거지? (1) | 2021.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