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지난시간에 이어서
어떻게 반도체의 복잡한 회로가 조그만 소자하나로 구현이 될 수 있는지
기구적인 모습과,
웨이퍼 위에 전기적인 성질을
띄게끔 만드는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배워볼 시간입니다.
먼저 기구적인 모습을 먼저 공부해볼까요.
지난 시간에 배웠듯
요런 형태의 실리콘 가공된 덩어리가 얼마나 많아야
반도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까요?
서두에 말씀드렸던.
'어떻게 반도체의 복잡한 회로가 조그만 소자하나로 구현이 될 수 있는지'
이에 대한 해답은 구조적인 부분에 있습니다.
반도체 공정중 웨이퍼 생성부터 식각공정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는건데요.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1. 실리콘 위에 박막(얇은막) 을 입히고,
2. 포토 공정을 수행하고(회로 패턴을 그리는 공정이었죠?)
3. 식각공정을 수행합니다(회로 패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이었죠)
이런 과정을 여러번 반복해서
쌓고 또 쌓는겁니다.
형태로 나타내보면 이렇습니다.
여기서 절연부라고 명명된 이부분이
바로 박막이라는 것인데.
박막은 그림에서 보듯 전기적으로 연결되야 하는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절연처리 해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어떤 회로는 살리고
어떤회로는 죽여야 되니까요.
게다가 오염 물질로부터 내부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렇게 박막을 씌워주는 과정을 증착이라 표현합니다.
구조적인 부분을 이해했다면 다음은
전기적인 성질을 띄게하기 위해서 뭘해야되는지 배울 차례죠?
반도체 위에 길을 만들고.
길위에 강제로 이온을 주입시켜 전기적인 성질을 띄게끔 만드는 것을
이온 증착이라고 일컫습니다.
이온? 이라고 설명하니 어려울 수도 있겠네요.
사실은 회로이론 기초를 공부하면서 배웠던 내용입니다.
이온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물질이 원자 단위로 구성되어있다는 상식 정도는
초등학교 과학시간에도 배우는 내용이니 모두들 아실거라 보고.
어떠한 원자는 사실
자연상에서는 전기적인 성질을 띄지 않다가
어떠한 이유로 인해 자유전자가 이탈하게 되면 비로소 전기적인 성질을 띄게 되죠.
전자가 이탈할 수 있는 이유는 여러가지인데.
원자핵인 양성자와 중성자는 엄청 무거운 반면
자유전자는 빠르고 가볍습니다.
위 그림상 보면
회색이 전자.
빨간색이 양성자
파랑색이 중성자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어쨋든...
어떤 외부의 자극이 주어졌을때
쉽게 제자리를 이탈하고 전기적인 성질을 띄게되는 것이죠.
웨이퍼라는 물질은 규소로.
전기적인 성질을 띄지 않습니다.
이탈하지 않은 자유전자와
중성자, 그리고 양성자의 합이 0으로
전기적인 성질을 띄지 않는 물질입니다.
자세히 들어가게 되면 옥텟규칙까지 설명해야하는데.
여기서 옥텟규칙은 화학분야로 넘어가기 때문에
일단은 생략하겠습니다.
궁금하신분은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드리도록 할게요.
무튼 실리콘의 중성적인 특징 때문에 반도체에는
강제로 전기적인 성질을 가지도록 이온을 주입해주어야 하는데
쉽게 설명하면
이온은 '+' 와 '-' 상태 총 2가지 상태가 유의미한 상태라고 볼 수 있죠.
'+' 상태라는건
원자에서 자유전자가 많이 이탈한 상태일것이고
'-' 상태라는건
원자에서 자유전자가 많이 들어온 상태이겠죠.
우리는 '+' 상태를 Postive의 약자인 (P)로 표현하고
'-' 상태를 Negative의 약자인 (N)으로 표현합니다.
때문에 이온을 뭘 넣어주었냐에 따라서
P형 반도체인지 N형 반도체인지가 구분되죠.
이건 나중에 자세히 설명할 기회가 있겠네요!
어쨋든 규소라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순수한 화학물질에
이온을 강제로 주입하는 공정이 마치
불순물을 투입하는 과정과 비슷한데.
반도체라는 건.
사람의 필요에 따라 제.어.가.능.한
전기를 흐를수도 있고 안흐를수도 있는 물질이기에
순수하게 자연에서 존재하는 물질이 아닙니다.
사람이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죠.
이번 시간에는 이온이 주입되어 전기적인 성질을
성질을 띄게 된 반도체끼리
어떻게 회로를 이어줄 수 있는지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전기공학 기초이론 > 반도체 물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8대공정 - EDS 공정(Electrical Die Sorting) (7) (0) | 2022.04.05 |
---|---|
반도체 8대공정 - 금속배선 공정(6) (0) | 2022.03.29 |
반도체 8대공정 - 식각공정(4) (0) | 2022.03.15 |
반도체 8대공정 - 포토공정(3) (0) | 2022.03.08 |
반도체 8대공정 - 산화공정(2) (0) | 202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