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망의 마지막 공정 학습시간입니다.
어느덧 반도체 8대공정 강의 마무리 단계에 와있네요.
반도체 8대공정 포스팅이 끝나면 다시 회로이론으로 넘어갔다가
중간중간 여러 실무이론에 대해서 간혹 포스팅 해드리겠습니다.
지난시간에 만들어진 반도체에 대한 Q.C 업무를 배웠었죠.
오늘 배울건 Q.C 업무가 끝난 다음
마무리 단계의 포장 공정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어요.
우린 지난시간에 EDS 공정을 배웠죠.
EDS 공정을 거치고나서 선별된 정상적인 반도체 칩들은
기기에 탑재되기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반도체 칩이라 함은 흔히 아래 사진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보드가 있고 그안에 사람의 두뇌 역할을 하는 칩이 박혀있죠.
칩이 잘 삽입되고 나서 확인해야 될 부분을 생각해보면.
반도체 자체의 성능 검증은 끝났기 때문에
그다음으로 생각해야 할 부분이
반도체 외의 부분과 조립하였을때 전기신호를 제대로 주고 받을 수 있느냐이겠죠.
더군다나 매우 작고 고가의 반도체가 작은 충격이나 열에 망가져서도 안될겁니다.
적절한 보호조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이죠.
패키징 공정은 흔히 아래와 같이 이루어집니다.
1. 웨이퍼 소잉/다이싱
웨이퍼에 여러가지 IC 칩이 있는데.
이걸 각각 잘라서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드는 공정이 되겠습니다.
2. 칩접착: 절연된 칩을 낱개단위로 PCB 기판위에 올리는 작업
웨이퍼가 원형 모양에
여러개의 칩이 붙어 있는 형상이란것 정도는 이쯤이면 모두들 아시겠죠.
위는 웨이퍼 사진입니다.
이렇게 웨이퍼에 격자 모양으로 여러개의 I.C 칩이 될 여러가지 소자들을
잘라서 낱개로 기판에 올리는 작업을 수행하는거죠
3. 금선연결: 기판위에 올려진 칩이 PCB랑 붙을 수 있게 칩과 기판을 연결해주는 작업
반도체는 그자체적으로 검증되었지만
외부 기판과 연결되었을때 신호가 잘 통하는지에 대해선 검증한 바 없으므로
해당공정을 진행합니다.
4. 성형공정: 패키지 모양을 원하는 모양으로 갖추게 하기 위한 공정
성형공정의 목적은 I.C 칩 보호와 사용자 목적에 맞게 모양을 형성 하는 것 입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있는 완제품의 반도체는 대부분 이런 모습일 겁니다.
5. 제품명 마킹
삼성이면 삼성, 마이크론이면 마이크론... 제조사를 새겨넣는 부분입니다.
6. 파이널테스트
전공정에서 반도체 자체에 대한 EDS 공정을 걸쳐 품질 검증을 받았다면
이제는 외부 커버가 잘씌워졌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인데.
반도체를 검사장비에 넣고 전압이나 전기신호를 가하고
온도조건을 다르게 주어서 전기적으로 제어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최종공정이라 보시면 됩니다.
이상 반도체 8대 공정 전반을 살펴보았습니다.
워낙 오래전 배웠던 내용이고 기억이 가물가물하여
서적과 웹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요새 회사 업무로 정신이 없습니다.
많은 독자 및 학생 여러분께 일일히 답변드려야 마땅하나
간신히 포스팅을 이어나가고 있기에 다소 답변이 늦더라도
너그럽게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기공학 기초이론 > 반도체 물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8대공정 - EDS 공정(Electrical Die Sorting) (7) (0) | 2022.04.05 |
---|---|
반도체 8대공정 - 금속배선 공정(6) (0) | 2022.03.29 |
반도체 8대공정 - 증착 및 이온 주입 공정(5) (0) | 2022.03.22 |
반도체 8대공정 - 식각공정(4) (0) | 2022.03.15 |
반도체 8대공정 - 포토공정(3)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