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 엔지니어의 꿈 :: [회로이론] - 직렬과 병렬로 인덕터를 연결해보자
반응형

지난 시간에

 

인덕터라는 것은

 

전선을 동그란형태로 말아놓은 것이라고 말씀드렸죠.

 

그리고 중요했던 포인트.

 

인덕터는 전압과 전류의 관계에 있어서

 

옴의 법칙내 R과 같은

 

무언가라고 설명 드렸습니다.

 

자 주제를 살짝 넓게볼까요?

 

 

우리가 배웠던 3가지

 

수동소자.

 

1. 저항(Resistor)

 

 

2. 커패시터(Capacitor)

 

 

3. 인덕터(Inductor)

 

V = I * R

 

Q = C * V

(Q = I * t)

 

V = L * (di / dt)

 

우리가 지금까지 열심히 배웠던 위 3가지 수식이 모두

 

전압과 전류사이를 규정함에 있어서 어떠한 상수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우리는 전압과 전류관계에 있어서 그 사이 상수값을 결정하는 R, L, C를

 

한곳으로 묶어서 임피던스(Impedence)라고 표현합니다,

 

보시다시피 회로이론은

 

전기의 근원인 전압과 전류라는게 어떻게 형성되는지

 

지구상에 어떤 물질로 전기를 활용할 수 있는지를

 

공부하는 가장 기초적인 학문입니다.

 

제가 인덕터 파트에서 지금과 같이 전체를 한번 묶어 설명하는 이유는

 

앞에서 배웠던 것과 지금 배우는게 어떤 연관성이 있으며,

 

이걸 왜 배워야 하는지를 큰 시각으로 말씀드리는 부분입니다.

 

우리는 임피던스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을때,

 

비로소 적재 적소에 전압과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압과 전류는 그사이 상수(R, L ,C)로 부터 결정되기 때문이죠.

 

지금까지 배운 지식들의 목적.

 

우리는 이러한 특성을 익힘으로써

 

회로를 설계하든 보드를 설계하든 반도체를 설계하든

 

중요한 밑거름 지식을 얻게 되는겁니다. 


본론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일전의 포스팅에서 저항을 직렬과 병렬로 연결했을때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기억하시나요?

 

저항은

 

직렬로 연결하면 그 값이 더해졌었고,

 

 

병렬로 연결하면 그 값이 역수값으로 계산됬었죠.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면,

 

저항의 직렬 및 병렬연결 포스팅을 리뷰하시기 바랍니다.

 

인덕터 역시

 

저항의 합성 공식과 완전히 동일합니다.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실겁니다.

 

저항도 저항률이 큰 어떤 물질을 길게 늘여뜨려 놓은 것이고

 

인덕터도 동그랗게 말아 놓은 전선을 길게 늘여뜨린 모양이거든요.

 

해서 저항이나 인덕터는 각 제품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할때 동일한 특성을 갖습니다.

 

직렬연결

 

L(등가) = L1 + L2

 

병렬연결

1 / L(등가) = 1 / L1 + 1 / L2

 

우리는 이렇게

 

오늘까지 배운내용을 끝으로

 

실제 많은 전기전자 공학도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회로이론 내용의 약 절반을 마쳤습니다.

 

보통은 여기까지 하고 중간고사를 봤었죠.

 

이후부터는. 

 

우리가 배웠던 소자들을 가지고 회로를 구성할때

 

회로가 어떻게 해석되는지.

 

전류와 전압과 임피던스의 관계가 어떻게되며

 

어떠한 용도로 그러한 회로를 활용할 수 있는지를 배워나갈겁니다.

 

회로이론 파트는 사실. 포스팅하기가 참 어려운 부분이 많네요.

 

여튼. 몇번 거르더라도 꾸준히 포스팅할테니

 

열공해주시길 바라며 전 이만 물러가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Lubly0104

전기설계 엔지니어가 알려주는 찐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