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이 다소 어그로성이 있죠.
근데 사실 그렇습니다.
저도 학생시절 그랬고
이 파트부터 포기했던것 같습니다.
수식도 많아졌고 이해도 어려웠기 때문이죠.,
책에 나오는 용어는 또 너무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친절하게 설명이라도 있었으면 참 좋았을텐데요.
그런게 없었죠.
회로이론을 처음 배웠던 시간이 약 10여년 흐른 지금
6년간 설계 엔지니어로 근무하면서
느꼇던 것과 이해했던 내용을 담아서
여러분들이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아마도 교수님, 그리고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보단
쉬울거라 자부합니다.
계단응답이란????
아래 그림을 보세요
1초동안 전압이 없다가
딱 1초가 되는시점 1[v]의 전압이 형성되죠.
계단응답 이름에서도 감이 팍오시겠지만
생긴게 계단 형태같이 생겼다고 해서
이를 계단 응답이라고 합니다.
헌데 이러한 계단응답이라는 특성은 언제 관찰될까요?
자 회로를 한번 봐봅시다.
회로를 보면
X4는 사람이 눌렀다 켰다할 수 있는 스위치
R6는 저항
G6는 건전지
C6는 커패시터 입니다.
지금.
X4를 개방상태에 두었습니다.
과연 위 회로에 C6에서 전압은 생겼을까요?
너무 당연한 얘기지만
네 아닙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0초에서 1초사이에 이렇게 개방회로로
두었다가.
X4 스위치를 한번 닫아봅시다.
그림은 어떻게 될까요.
1초 이후의 그림이 그려지겠죠.
자.
이런 뻔한걸 왜배우느냐.
사실은.
1초부분을 확대해보면
저게 저렇게 수직인 모양이 아니라는게 문제입니다.
무슨얘기냐면
아마도 대부분의 학생 및 직장인들이
한번에 이해가 가실거라 단언하는데
위 그림은 비트코인 선물 차트입니다.
실제로는 무지하게 가파른것처럼 보이지만 스케일을 확대하면
그렇게 가팔라 보이지 않는다는거에요.
네. 스위치가 있는 RC회로도 마찬가지에요
이부분을 크게 확대해 보겠습니다.
확대에 쓰이는 장비는 학생들이 흔히 접할 수 있는
오실로스코프라는 장비에요.
확대해보니
그림이 이상하죠?
직선인줄 알았는데
사실 약간 둥근 모양이더라는 거에요
그리고 실제로 1[A]로 도달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단 겁니다.
우리는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서
분명 스위치를 닫으면 1[A]가 형성된다라고 가정하고
옴의법칙, 키르히호프 법칙을 사용할건데
실제로는 아주 잠깐동안
1[A]가 도달하지 않는 초기시점이 있다는 거에요.
그래서 우리는 1 + 몇초?
에 1[A]에 도달할건지가 궁금합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몇초에 대한 해답을 찾기위해
각종 수식을 끌고오겠습니다.
왜 배우는지 이해했으니
어떻게 해결하는지는 정해진 절차만 따라오시면 됩니다.
오늘도 긴글 읽어주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전기공학 기초이론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이론] - RL회로의 계단응답 개요 (0) | 2023.04.23 |
---|---|
[회로이론] - RC 회로의 계단응답 시정수(자동차의 제로백) (2) | 2023.04.09 |
[회로이론] - RL 미분방정식 풀이 ???? 그게 뭔데, 무전원 RL 회로를 알아보자 (0) | 2023.03.26 |
[회로이론] 전원없이 저항과 커패시터를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 (1) | 2023.03.19 |
[회로이론] - 직렬과 병렬로 인덕터를 연결해보자 (1) | 2023.03.12 |